맨위로가기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이오니아 제도 출신의 귀족으로, 파도바 대학교에서 의학, 철학, 법학을 전공했다. 러시아 제국 외무부에서 근무하며 스위스의 독립과 중립을 지원했고, 빈 회의에 러시아 대표로 참석했다. 1822년 그리스 독립 전쟁을 지원하며 스위스 제네바로 이주했으며, 1827년 그리스 제1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그리스의 독립을 위해 노력했다. 그는 친(親)러시아 정책을 펼치며 정부 기구 조직, 국민 생활 수준 향상에 힘썼으나, 자유주의 억압과 농민 소외 정책으로 반발을 샀다. 1831년 나플리오에서 암살당했으며, 사후 아테네 국립 카포디스트리아스 대학교가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그는 그리스, 슬로베니아, 스위스 등에서 존경받는 인물로, 다양한 기념 사업과 유산으로 그의 업적이 기려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프로스계 그리스인 - 요안니스 프랑구디스
    요안니스 프랑구디스는 키프로스 출신으로 1896년 아테네 올림픽 사격 소위원회 서기를 역임하고 사격 종목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그리스-터키 전쟁 이후 대령으로 진급하여 국왕 암살범을 체포하기도 했으나, 1916년 미국에서 감전사고로 사망했다.
  • 이탈리아계 그리스인 - 넬리 마즐룸
    넬리 마즐룸은 이집트 태생의 그리스 무용가, 배우, 안무가, 교육자로, 소아마비에도 불구하고 어린 나이에 솔로 댄서로 데뷔하여 벨리댄스, 발레, 무용단 활동 등을 통해 이집트 춤 발전에 기여했으며, 말년에는 그리스에서 국제 무용 학교를 설립하고 오리엔탈 댄스 기법을 개발, 지중해 춤을 연구했다.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디오니시오스 초코스의 초상화
이름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로마자 표기Kómis Ioánnis Antónios Kapodístrias
러시아어 이름граф Иоанн Каподистрия (graf Ioann Kapodistriya)
이탈리아어 이름Giovanni Antonio Capodistria, Conte di Capo d'Istria
출생일1776년 2월 10일
출생지코르푸, 베네치아 이오니아 제도
사망일1831년 9월 27일
사망지나플리오, 제1차 그리스 공화국
정당러시아당
배우자알려진 바 없음
형제자매비아로스 카포디스트리아스 (형제)
아브구스티노스 카포디스트리아스 (형제)
모교파도바 대학교
직위
임기 시작1828년 1월 20일
임기 종료1831년 9월 27일
이전1827년 부통령 위원회
안드레아스 자이미스 (그리스 임시 정부 대통령으로서)
이후아브구스티노스 카포디스트리아스
외무장관
임기 시작1816년
임기 종료1822년
이전니콜라이 루 нце프
이후카를 네셀로드
함께카를 네셀로드
군주알렉산드르 1세

2. 생애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이오니아 제도케르키라섬(당시 베네치아 공화국령)에서 귀족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슬로베니아 코페르(카포디스트리아) 출신으로, 14세기에 코르푸로 이주하여 정교회로 개종하고 헬레니즘화되었다. 이탈리아 파도바 대학교에서 의학, 철학, 법학을 전공한 후, 1797년 케르키라섬에서 의사로 활동했다. 1799년 러시아 제국오스만 제국이 케르키라섬을 점령한 후에는 군사 병원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1809년에는 알렉산드르 1세의 초청을 받아 러시아 제국 외무부에서 근무했다. 1813년에는 스위스의 안정을 위한 대책을 논의했고, 그의 제안에 따라 스위스는 보통 선거에 의한 새 헌법을 제정하고 19개의 주로 구성된 연방제 국가가 되었다.

1815년 빈 회의에서 러시아 제국 대표로 참석하여 유럽 내의 세력 균형을 주장하며, 프랑스부르봉가의 왕정 국가로 남아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스위스가 영세 중립국으로 공인되는 것을 지지했다. 1816년부터 1822년까지 러시아 제국의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1822년 그리스 독립 전쟁을 계기로 스위스 제네바로 이주하여 그리스의 독립을 지원하는 조직들을 지원했다. 1827년 그리스로 귀국하여 그리스 제1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8] 1830년 런던 의정서를 통해 영국, 프랑스, 러시아 제국은 그리스의 독립을 승인했다.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외교 정책에서는 친(親)러시아적인 자세를 견지했다. 또한 국가 정책에서는 정부 기구를 조직하고 국민의 생활 수준을 높이는 한편 국가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전통적인 지방 귀족 출신의 지도자들의 권력을 약화시키는 정책을 시행했다. 그렇지만 자유주의를 억압하고 농민을 소외시키는 정책을 시행해서 그리스에서는 그의 정치에 반대하는 반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2. 1. 이오니아 제도 시절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의 등장 이후, 1799년 러시아 제국오스만 제국프랑스이오니아 제도에서 몰아내고 귀족들이 통치하는 칠주 공화국을 세웠다. 케팔로니아에서 그는 외세의 개입을 피하기 위해 국민들이 단결하고 규율을 유지하도록 설득하는 데 성공했고, 그의 주장과 용기로 갈등 없이 반란적인 반대 세력에 맞서 진압했다. 그는 같은 평화로운 결의로 7개의 섬 모두에 권위를 확립했다.

조르제 모체니고 백작 (1762–1839)은 자킨토스 출신 귀족으로 이탈리아에서 러시아 외교관으로 일했으며, 카포디스트리아스는 그의 보호를 받았다.

새로운 이오니아 상원을 위한 선거가 치러졌을 때, 카포디스트리아스는 만장일치로 국가 수상으로 임명되었다. 1803년 12월, 상원은 봉건적이지 않고 더 자유롭고 민주적인 헌법을 채택했다. 국가 장관으로서 그는 공공 부문을 조직하고 교육에 특히 중점을 두었다. 1807년 프랑스는 다시 섬들을 점령하고 칠주 공화국을 해산했다.

나폴레옹 전쟁 중이던 1799년 섬이 러시아 제국(Российская империя)과 오스만 제국(Osmanlı İmparatorluğu)에 점령되었을 때, 카포디스트리아스는 군 병원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1801년 이오니아 제도는 러시아와 오스만 제국의 보호 아래 이오니아 7주 연합국(Ηνωμένο Κράτος των Επτά Νήσων)으로 독립했다. 당시 25세였던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아버지 대신 국무장관 직에 올랐다. 외부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결속을 강화해야 했지만, 그는 군대를 사용하지 않고 국내 혼란을 진압하는 데 성공했다. 의회 투표를 통해 총리로 임명되었다.

1803년 12월에는 러시아로부터 받은 비잔틴 헌법을 대체하는 민주화 헌법이 제정되었다. 총리로서 그는 국가 조직 정비를 추진했고, 특히 교육에 중점을 두었다. 오랫동안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 아래 있었던 이오니아 제도에서는 이탈리아어가 공용어로 사용되어 왔지만, 그는 공용어를 그리스어로 정했다. 당시 그리스 독립을 요구하는 많은 지식인들이 이오니아 제도를 방문했다. 그러나 1807년 러시아와 프랑스 사이에 틸지트 조약(Treaty of Tilsit)이 체결되자 이오니아 제도는 프랑스에 양도되었다(프랑스령 이오니아 제도).

2. 2. 러시아 제국 외교관 시절

1809년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알렉산드르 1세의 초청으로 러시아 제국 외무부에서 근무를 시작했다. 1813년 11월에는 비공식적인 러시아 대사 자격으로 스위스에 파견되어, 프랑스의 지배하에 있던 스위스가 분리되도록 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스위스의 통일, 독립, 중립을 확보하는데 기여했고, 이는 강대국들에 의해 공식적으로 보장되었다. 또한, 스위스의 19개 주를 위한 새로운 연방 헌법의 초안 작성에 참여하고, 시작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토마스 로렌스의 초상화


1814년에는 안티모스 가지스와 협력하여 비엔나에 필로뮤즈 학회를 설립했다. 이 학회는 그리스 연구를 포함한 친 헬레니즘을 증진하는 교육 기관이었다.

1815년 빈 회의에서 러시아 대표로 참석한 그는 오스트리아 대표인 메테르니히 공작에 맞서, 부르봉 왕가 군주 하의 프랑스 국가 통일을 주장했다. 또한 스위스의 헌법과 중립에 대한 국제적 보장을 얻어냈다. 이러한 외교적 성과를 바탕으로, 알렉산드르 1세는 카포디스트리아스를 칼 로베르트 네셀로데와 공동으로 러시아 외무장관에 임명했다.

러시아 외무장관으로 재직하는 동안 카포디스트리아스는 메테르니히의 오스트리아 중심의 유럽 문제 지배 목표에 대한 진보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카포디스트리아스의 새로운 유럽 질서에 대한 자유주의적 사상은 메테르니히에게 위협이 되었고, 메테르니히는 1819년에 자신의 진보적인 비전과 카포디스트리아스의 비전이 상반된다는 것을 인지하고 러시아 조정에서 카포디스트리아스의 지위를 약화시키려고 했다. 비록 메테르니히가 카포디스트리아스가 러시아 외무장관직을 그만두는 데 결정적인 요인은 아니었지만, 소문과 험담으로 카포디스트리아스를 적극적으로 약화시키려고 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주재 프랑스 대사에 따르면, 메테르니히는 암시에 능숙했으며, 러시아 조정에서 자신의 영향력에 맞설 수 있는 유일한 사람으로 여겨지는 카포디스트리아스를 중립화하려고 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운 유럽 질서에 대한 카포디스트리아스의 사상과 정책이 우세하게 되었다.

그는 항상 그의 조국, 특히 프랑스 혁명의 영향에서 러시아의 보호를 거쳐 영국 통치하에 들어간 일곱 섬의 상황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졌다. 그는 황제의 관심을 그리스 문제로 돌리려고 노력했다. 1817년 1월, 필리키 에테리아의 사절인 니콜라오스 갈라티스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도착하여 카포디스트리아스에게 그리스 독립 운동의 지도자직을 제안했으나,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이를 거절했다.

제네바에 있는 카포디스트리아스의 주택


코르푸에 있는 카포디스트리아스 동상과 배경의 이오니아 학회


1819년 12월, 필리키 에테리아의 또 다른 사절인 카마리노스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도착하여 페트로베이 마브로미할리스를 대표하여 러시아가 오토만 제국에 대한 반란을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카포디스트리아스는 긴 편지를 통해 이론적으로는 그리스 독립을 지지하지만, 현재로서는 러시아가 그러한 반란을 지원할 수 없다는 점을 설명하고 마브로미할리스에게 혁명을 취소하라고 조언했다. 필리키 에테리아의 지도자 중 한 명인 에마뉘엘 크산토스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도착하여 다시 카포디스트리아스에게 러시아의 지원을 호소했지만, 카포디스트리아스는 거절했다. 알렉산드로스 이프실란티스 공작이 카포디스트리아스에게 계획된 혁명 지원을 요청했을 때도, 카포디스트리아스는 그렇게 하지 말라고 조언했다. 1818년, 카포디스트리아스는 당시 영국 통치하에 있던 그의 고향 이오니아를 방문했고, 1819년에는 런던으로 가서 영국 정부와 섬 주민들의 불만을 논의했지만, 영국은 그에게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이는 카포디스트리아스가 황제에게 쓴 관련 메모를 영국에 보여주기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1821년,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알렉산드로스 이프실란티스 공작이 오토만 제국의 보호령인 몰다비아(현재 루마니아 북동부)를 침공하여 오토만 제국에 대한 발칸 반도의 전반적인 반란을 일으키려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벼락을 맞은 사람 같았다"고 묘사되었다. 유럽의 기존 질서를 유지하는 데 전념했던 알렉산더 차르는 오토만 제국에 대한 반란을 지원할 의향이 없었고,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알렉산더의 이름으로 이프실란티스를 규탄하고, 그에게 몰다비아를 즉시 떠날 것을 명령하고 러시아가 그에게 어떠한 지원도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하는 선언문을 작성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리스 동포로서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이 문서를 작성하기 어려워했지만, 알렉산더에 대한 그의 충성심은 이프실란티스에 대한 그의 동정심을 능가했다. 1821년 4월 22일 부활절 일요일, 그레고리오스 5세가 파나르에 있는 그의 거주지 문에서 공개적으로 교수형에 처해졌다. 이 사건과 오토만 제국이 정교회 사제들을 죽이고 있다는 다른 소식들은 알렉산더가 카포디스트리아스로 하여금 오토만 제국을 비난하는 최후 통첩을 작성하도록 이끌었다.

1821년 7월 18일, 러시아는 오토만 제국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 카포디스트리아스는 그리스 독립을 지원하는 데 점점 더 적극적으로 참여했지만, 1821년 그리스 혁명에 대한 알렉산더의 지지를 얻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었고, 1822년 외무장관직에서 장기간 휴가를 얻어 제네바로 은퇴하여 물적, 도덕적 지원을 조직하여 그리스 혁명을 지원했다.

2. 3. 그리스 독립 전쟁과 대통령 시절

트로이젠에서 열린 제3차 국민의회에서의 카포디스트리아스 선출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이 발발하자, 오스만 제국군과 싸우면서 내부 갈등을 겪던 그리스 독립 세력은 1827년 국민회의를 열고 카포디스트리아스를 대통령으로 선출했다.[8] 유럽 각국을 순회하며 그리스 독립 지지 세력을 확장한 그는 1828년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나프플리온에 상륙했다. 그리스 본토에 발을 디딘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다. 당시 그리스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과 내전으로 인해 제대로 된 정부가 없는 상황이었다. 카포디스트리아스는 국가 체제 정비의 일환으로 먼저 국군을 창설했다. 1830년 런던 의정서를 통해 영국, 프랑스, 러시아 제국이 그리스의 완전 독립을 승인하였다.

페닉스(Phoenix), 근대 그리스 국가의 최초 통화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전염병 대책으로 격리 시설을 설치하고, 장티푸스, 콜레라, 이질 환자를 수용했다. 또한, 새로운 화폐인 페닉스를 도입하고 지방 자치제를 정비했다. 국민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자 재배를 장려했다. 그는 국가 권위를 높이기 위해 전통적인 지방 귀족과 유력자들의 권력을 약화시키는 정책을 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과의 독립 전쟁에 참여했던 지도자들의 세력을 과소평가했다. 라코니아 지방에서 독립 운동 지도자와 새로 임명된 지사 사이에 분쟁이 발생하자, 그리스군 상당수가 여전히 독립 운동 지도자들의 영향 아래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에 군대 파병을 요청했다. 한편,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오랫동안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은 그리스인들에게는 통치 능력이 없다고 판단하여 의회를 폐지하고 자유주의를 억압했기 때문에, 자작농 육성책을 포함한 여러 정책에도 불구하고 그리스 유력자들로부터 반발을 샀다.

3. 암살

1831년, 카포디스트리아스는 마니 반도의 유력 귀족 페트로스 마브로미할리스(Petrobey Mavromichalis)를 반란 혐의로 투옥했다.[4] 이에 반발한 마브로미할리스 가문의 일족 2명, 즉 페트로스의 동생 콘스탄티노스와 아들 게오르기오스 마브로미할리스는 1831년 10월 9일 나플리오의 성 스피리도노스 교회에서 카포디스트리아스를 암살했다.[4]

카포디스트리아스의 정책에 대한 불만과 마브로미할리스 가문의 개인적인 원한이 암살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히드라 섬은 카포디스트리아스 정책에 대한 반대의 중심지였다.[4]

4. 유산 및 평가

파키스의 카포디스트리아스 암살


나플리온의 성 스피리돈 교회, 카포디스트리아스 암살 장소


아테네 파네피스티미우 거리에 있는 국립 카포디스트리아스 대학교 앞에 있는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동상 (게오르기오스 보나노스 작품)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오늘날 그리스에서 매우 존경받는 인물이다. 1944년 니코스 카잔차키스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희곡 "카포디스트리아"를 썼으며, 이 3막 비극은 1946년 그리스 국립극장에서 공연되었다. 카포디스트리아스는 스위스 통합에 기여한 공로로 명예 시민이 되는 등 큰 존경을 받았다.[8]

그는 1831년 10월 9일 나플리온에 있는 성 스피리돈 교회에서 콘스탄티노스 마브로미할리스와 그의 아들 게오르기오스 마브로미할리스가 쏜 총에 맞아 암살되었다.

코르푸 쿠쿠리차에 있는 그의 별장은 그의 삶과 업적을 기리는 박물관으로 개조되어 ''카포디스트리아스 박물관''으로 명명되었다. 이 박물관은 그의 고조카인 마리아 데실라-카포디스트리아가 코르푸의 세 문화 단체에 기증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Saint Petersburg)의 동상


2015년 6월 19일, 그리스의 총리 알렉시스 치프라스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동상 앞에서 그리스계 러시아인들을 대상으로 연설을 했다.[15][16][17]

4. 1. 그리스

아테네 대학교는 그의 이름을 따서 '아테네 국립 카포디스트리아스 대학교'로 명명되었다.[11] 1983년부터 2001년까지 발행된 500드라크마 지폐와 현재 그리스의 20유로센트 주화에 그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다.[11]

4. 2. 슬로베니아

2001년 12월 8일, 슬로베니아 코페르시 중앙 광장에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의 실물 크기 동상이 제막되었다. 이 광장은 카포디스트리아스 가문이 14세기에 코르푸로 이주하기 전 조상들이 살던 곳이기 때문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동상은 그리스 조각가 K. 팔라이올로고스가 제작하였고, 그리스 해군 함정에 의해 코페르로 운송되었다. 제막식에는 그리스 대사와 아테네 국립 및 카포디스트리아 대학교의 카포디스트리아스 연구가이자 교수인 엘레니 쿠쿠가 참석하였다.

2007년 4월 24일, 그리스 개발부 장관 디미트리스 시우파스는 슬로베니아 경제부 장관 안드레이 비즈야크와 만난 자리에서 "그리스는 슬로베니아와의 관계에 특별한 감정적 이유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스 초대 총독인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의 가문이 슬로베니아 코페르 출신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우리에게 특히 중요합니다."라고 언급했다.

4. 3. 스위스



2009년 9월 21일, 스위스 로잔시는 우시에 카포디스트리아스의 청동상을 제막했다. 이 행사에는 러시아 연방의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과 스위스의 미셸린 칼미-레이 외무장관이 참석했다. 로잔의 우시에 있는 이오아니스-카포디스트리아스(Ioannis-Capodistrias) 길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2]

제네바주보주는 카포디스트리아스에게 명예 시민권을 수여했다.[13]

스위스 제네바시의 카포 디스트리아(Capo d'Istria) 부두는 카포디스트리아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4]

4. 4. 국제 네트워크

2007년 2월 24일, 에이나섬, 나플리온, 코르푸, 코페르, 파마구스타는 "이오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네트워크"를 설립했다.[18] 이 네트워크는 카포디스트리아스와 관련된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의 연합체로, 국경을 넘어 그의 삶과 업적을 알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네트워크의 회장은 그리스 나플리온 시가 맡고 있다.[18]

참조

[1] 간행물 Αι Κυβερνητικαί Αρχαί της Ελληνικής Πολιτείας (1827–1833) https://ejournals.ep[...]
[2] 서적 Ιωάννης Καποδίστριας, Ρωξάνδρα Στούρτζα: μια ανεκπλήρωτη αγάπη : ιστορική βιογραφία https://books.google[...] Εκδόσεις Πατάκη
[3] 서적 Μεταβυζαντινά και νέα Ελληνικά https://books.google[...] Zakythēnos
[4] 서적 Ιστορία των Επτανήσων από το 1797 μέχρι την Αγγλοκρατία https://books.google[...] Εκδόσεις Δημ.Ν. Παπαδήμα
[5] 서적 Famous Assassinations in World History: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6] 문서 Γενεολογικό δέντρο Καποδίστρια, Κέρκυρα, Ιόνιον Φως, Δ.Ταλιάνης
[7] 서적 Women, Diplomacy and International Politics since 15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8] 웹사이트 Ioannis Capodistrias, guardian angel of independence of the Vaud https://web.archive.[...] 2009-09-27
[9] 서적 Mani: Travels in the Southern Peloponnese NYRB
[10] 문서 Id.
[11] 웹사이트 European Central Bank – Eurosystem – Coins, Greece https://www.ecb.euro[...]
[12] 웹사이트 Lausanne inaugure une allée en honneur du Grec Ioannis Kapodistrias https://www.rts.ch/i[...]
[13] 웹사이트 Ioannis Kapodistrias https://www.eda.admi[...]
[14] 웹사이트 Quai Capo d'Istria https://www.geneve.c[...]
[15] 뉴스 Kremlin: Russian loan not discussed in Tsipras-Putin talks https://news.yahoo.c[...] Associated Press 2015-06-19
[16] 뉴스 Greek Prime Minister Alexis Tsipras (C) speaks with Greek expatriates in front of the statue of the founder of modern Greek state Ioannis Kapodistrias in St. Petersburg, Russia, June 19, 2015. REUTERS/Maxim Shemetov http://s1.reutersmed[...]
[17] 뉴스 ECB boosts emergency funding as Greek banks bleed, Tsipras calm https://www.reuters.[...] 2015-06-21
[18] 뉴스 Την προεδρία του Ναυπλίου στο "Δίκτυο πόλεων Ιωάννης Καποδίστριας" εξασφάλισε ο Δήμαρχος Ναυπλιέων Δημήτρης Κωστούρος http://nafplio.gr/ne[...] Municipality of Nafplio 2016-06-13
[19] 문서 섭정이나 임시 대통령
[20] 문서 군사 정권이 임명한 사람
[21] 문서 1967년에 그리스를 떠났다. 1973년에 파파도풀로스가 왕정을 폐지할 때까지 법적으로 국가 원수였다.
[22] 문서 1973~1974년에 군사 정권이 선포한 공화국은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23] 문서 아테네를 장악하지 못한 대립 정부의 수반
[24] 문서 군사/독재 정권 수반
[25] 문서 비상시 또는 과도 정부 수반
[26] 문서 제2차 세계 대전 때 추축국이 그리스를 점령할 당시(1941~1944) 점령군에 협조한 그리스국의 수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